본문 바로가기
IT트렌드개념정리

웹 3.0

by soso_쏘쏘 2025. 2. 22.
반응형

웹 3.0이란?

웹 3.0은 3세대 인터넷으로 개인에게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고 그 데이터를 개인이 소유한다는 개념입니다.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개인화된 정보를 얻고 블록체인으로 개인의 데이터 소유와 보안을 강화하는 기술입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인공지능과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 기술이며, 최근 ‘CES 2023’에서 주목한 주요 테마로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웹 1.0과 웹 2.0 그리고 웹3.0의 등장배경

웹 1.0은 초기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을 일컫으며, 1989년 유럽의 한 연구소에서 연구 기관 간의 효율적인 자료 공유를 위하여 만들었습니다. 이는 HTML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정보제공자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이용자들이 접근하여 읽을 수 있는 수준의 환경을 제공했습니다. 현재는 우리가 당연하게 생각하는 댓글 기능도 없는 페이지였습니다. 웹 2.0은 1999년 웹 1.0을 기반으로 하던 수많은 닷컴 기업들이 닷컴 버블 이후 사라지게되면서, 남은 인터넷 기업들이 앞으로의 방향을 설정하며 자연스럽게 등장하였습니다. 웹 1.0이 일방적인 정보 전달에 그쳤던 것과 다르게 웹2.0에서는 이용자도 직접 컨텐츠를 생산하고 쌍방향으로 소통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웹 2.0은 참여, 공유, 개방을 표방하며 2000년 이후 빠르게 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SNS와 게임 등 웹상에서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지금이 바로 웹 2.0시대입니다. 여기서 주요 인터넷 기업들은 정보를 중앙으로 모아서 플랫폼으로서 정보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렇게 중앙집권화된 웹에서 사용자가 생성한 데이터의 소유권을 플랫폼 기업이 가지도록 하며, 그로 인해 발생된 수익 또한 플랫폼 기업이 독점하는 불공정 거래의 문제점이 나타나기 시작헸습니다. 이 외에도 개인 데이터의 오남용, 후발 사업자의 진입의 어려움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탈중앙화된 웹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기 시작했습니다. 2014년 이더리움의 개빈 우드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탈중앙화된 웹 3.0을 언급하였고 최근들어 클라우드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 간에 정보를 주고받는 P2P가 가능해져 해킹에서 보다 자유롭고 개방적인 인터넷인 웹 3.0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웹 3.0의 특징

  • 탈중앙화

앞서 웹 3.0의 등장배경에서 언급되었듯이 웹 3.0에서는 탈중앙화를 이용하여 기존 플랫폼 기업들의 비즈니스 독점구조를 해결하고자 합니다. 기존의 중앙집중화된 구조에서는 해킹에 의해 대량의 개인정보가 탈취되기도 하고 기업들이 이용자의 동의없이 개인정보를 활용하기 쉬운 구조였으나, 웹 3.0에서는 인프라나 서비스 등 다양한 측면에서 탈중앙화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등장한 개념이 탈중앙 자율조직(DAO,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입니다. 탈중앙 자율조직은 사람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운영되는 조직의 한 형태를 의미하며, 서비스의 주요 의사결정을 기업이 아닌 커뮤니티, 즉 이용자들이 주도하는 것입니다. 별도의 경영자나 최고관리자가 없이 이용자들의 투표로 조직이 운영되며, 서비스가 개인들에게 공정하고 효율적이며 투명하게 운영되도록 하기 위한 개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이 독단적으로 서비스의 운영 규정이나 수익배분구조를 변경할 수 없도록 할 수 있게 됩니다.

 

  • 데이터주권

웹 3.0은 데이터의 소유권 측면에서 ‘데이터 웹’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는 이용자들이 자신이 생성한 컨텐츠와 데이터를 온전히 통제 및 관리하는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기존의 메타와 구글과 같은 플랫폼 기업의 웹 2.0 환경에서는 기업이 모든 데이터를 관리하고 그로인해 수익도 가져가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유튜브 컨텐츠 개발자는 그 시청률에 따라 광고수익을 얻게 되는데, 플랫폼 기업인 구글이 그 수익의 70% 이상을 가져간다고 합니다. 그러나 웹 3.0에서는 사용자가 자신의 데이터를 원하는 저장소에 저장하고 이를 기업이 사용하기 위해서는 허가를 구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은 사용자에게 데이터에 대한 보상을 제공해야 합니다. 

 

  • 개방성/자발성/투명성

웹 3.0은 네트웨크 참여와 오픈소스 이용과 관련하여 개방성, 자발성, 투명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픈소스는 개발된 코드를 모두에게 공개함으로써 기술에 대한 투명성을 제공하고 다른 기술과 쉽게 융합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결론

지금까지 3.0 개념과 등장배경에 대해 소개해 보았습니다. 3.0 현재 인터넷 기업들의 정보 독점화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개념으로 등장하였으며, 탈중앙성, 개방성, 데이터 주권 등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새롭게 등장한 3.0 기술이 이용자들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공정한 시장을 만들어나갈 있을 앞으로의 변화가 기대됩니다.

반응형